마이크로덕트는 작은 직경의 튜브(내관)를 집합하여 제조한 제품이며, 통신망을 구성하는 광케이블의 포설 및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직매용, 내관용, 가공 및 난연용 등의 종류가 있습니다. 공압 포설 공법으로 광케이블을 포설 하는데, 압축 공기와 공압 포설 장비를 이용하여 포설을 하며, 최대 2KM 까지 광접속 없이 포설이 가능한 획기적인 공법입니다.
유럽에서 처음 소개된 솔루션으로 현재는 유럽을 넘어서 미주, 아시아등 세계에서 가장 앞서가는 광케이블 네트워크 구축 방법으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케이넷은 현재 70여국에 수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유수의 통신사, 전력, 공공 기관 등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습니다.
신규 네트워크 구축, 기설 관로 내 포설 경우 등 다양한 네트 워크 상황에 적용 가능
지중, 가공, 장거리 간선망, 가입자망, 구내 인입망, FTTH, 5G무선망 등 다양한 솔루션 제공하며 데이터센터,의료시설, 교육시설, 정부 및 지자체, 교통망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공압 포설 케이블(Air Blown Cable)을 이용하여 2Km 이상 장거리 공압 포설 가능 하며 견인 포설 대비 1/10로 시간 절약
공압 포설에 대해 자세히 보기여러개의 튜브(내관)를 확보하여 공간 활용 극대화 가능하며 한번의 설치로 최대 용량의 케이블을 필요에 따라 순차로 사용할 수 있음
직매(마이크로/미니, 오픈 트렌칭), 내관, 가공용, 구내용 등 다양한 시공방법 적용 가능
문제 발생시 기존 공법에 비해 작은 부피 및 무게로 유지 보수가 간단하며, 컨넥터를 이용 쉽게 보수 가능
마이크로덕트(직매, 관로용) 구축 방식은 기존 방식( COD, FC+SCD 등) 대비 비용 절감 효과를 가질 수 있음
구분 | Microduct | COD | FC + SCD | ||||||||||
---|---|---|---|---|---|---|---|---|---|---|---|---|---|
직매용 | 관로용 | ||||||||||||
구성내용 | TWD 14/10mm 7way 2열 + ABC Cable 48C 1조< |
FC 100mm*1열 + HDI 12/10mm 7way 2열 + ABC Cable 48C 1조 |
COD 110호 28mm*5 2열 + 기존 관케이블*48C 1조 |
FC 100mm*2열 + SCD 25mm x 5열 + 기존 관케이블 48C 1조 |
|||||||||
가격비교 | 항목 | 재료비 | 노무비 | 계 | 재료비 | 노무비 | 계 | 재료비 | 노무비 | 계 | 재료비 | 노무비 | 계 |
관로포설 | 15,000 | 12,254 | 27,254 | 19,674 | 13,615 | 33,289 | 26,000 | 29,054 | 55,054 | 17,165 | 25,979 | 43,144 | |
케이블 포설 | 1,060 | 1,825 | 2,885 | 1,060 | 1,825 | 2,885 | 964 | 4,764 | 5,728 | 964 | 4,764 | 5,728 | |
합계 | 16,060 | 14,079 | 30,139 | 20,734 | 15,440 | 36,174 | 26,964 | 33,818 | 60,782 | 18,129 | 30,743 | 48,872 | |
코어수 144c 기준 | 2016 코어 | 2016 코어 | 1440 코어 | 1440 코어 (FC관 2열 내관, 케이블 만공 기준) |
|||||||||
단면도 | ![]() |
![]() |
![]() |
![]() |
COD, FC+SCD 등 기존 관로 방식으로 사용했을 때 대비 마이크로덕트 (직매, 관로용)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한번의 포설만으로도 2 ~ 3배 이상의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음
규격 | TWD 14/10mm 7way 직매일 경우 |
FC관 + HDI 12/10mm 7way X3 관로형일 경우 |
COD 28mm X5 | FC관 + SCD 25mm X5 |
---|---|---|---|---|
케이블 수용 공수 | 7 | 21 | 5 | 5 |
최대 수용 코어 (144C 기준) |
1,088C | 3,024C | 720C | 720C |